logo

등문공
2011.12.19 21:11

2.滕定公薨(등정공훙)

조회 수 37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滕定公(등정공)이 : 등정공이 

薨(훙)이어늘 : 죽거늘 

世子謂然友曰昔者(세자위연우왈석자)에 : 세자가 연우에게 일러 말하기를, 전일에 

孟子嘗與我言於宋(맹자상여아언어송)이어시늘 : 맹자가 일찍 나한테 송나라에서 말씀하셨는데 

於心終不忘(어심종불망)이라니 : 내 마음속에 끝내 잊지 못하였노라 

今也不幸(금야불행)하여 : 이제 불행해서 

至於大故(지어대고)하니 : 대고에 이르렀으니 

吾欲使子問於孟子然後(오욕사자문어맹자연후)에 : 나는 자네로 하여금 맹자에게 물어 본 연후에 

行事(행사)하노라 : 장례를 치르고자 하노라 

然友之鄒(연우지추)하여 : 연우가 추에 가서 

問於孟子(문어맹자)한대 : 맹자께 물으니 

孟子曰不亦善乎(맹자왈불역선호)아 : 맹자가 말하기를 그것 참 훌륭한 일이 아니냐 

親喪(친상)은 : 부모의 상은 

固所自盡也(고소자진야)니 : 본래 자기 스스로 극진히 할 때이니라 

曾子曰生事之以禮(증자왈생사지이례)하며 : 증자가 말하기를 살아서 섬기는 데 예법으로써 하며 

死葬之以禮(사장지이예)하며 : 죽어서 장례를 지내기를 예법으로서 하며 

祭之以禮(제지이예)면 : 제사를 지낼 때에도 예법으로써 하면 

可謂孝矣(가위효의)라하시니 : 효도라 이를 만하니

諸侯之禮(제후지례)는 : 제후에 관한 예법에 관해서는 

吾未之學也(오미지학야)어니와 : 내가 아직 배우지 못하였지만

雖然(수연)이나 : 비록 그렇다 해도 

吾嘗聞之矣(오상문지의)로니 : 나는 일찍이 들었는데 

三年之喪(삼년지상)에 : 삼년상에

齊疏之服(제소지복)과 : 제소의 상복과

飦粥之食(전죽지식)은 : 천죽을 먹는 것은 

自天子達於庶人(자천자달어서인)하여 :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三代共之(삼대공지)하니라 : 삼대가 다 같이 하느니라. 

然友反命(연우반명)하여 : 그러나 연우가 반명하여 

定爲三年之喪(정위삼년지상)한대 : 삼년상을 행하기를 정하는데 

父兄百官(부형백관)이 : 부형과 백관들이 

皆不欲曰吾宗國魯先君(개불욕왈오종국노선군)도 : 다 원치 않아 말하기를 우리 종국 노나라의 선군도

莫之行(막지행)하시고 : 시행하지 않았고 

吾先君(오선군)도 : 우리 선군께서도 

亦莫之行也(역막지행야)하시니 : 또한 시행하지 않았으니 

至於子之身而反之(지어자지신이반지)는 : 당신의 몸에 이르러서 돌이키는 것도 

不可(불가)하나이다 : 옳지 못하오 

且志曰喪祭(차지왈상제)는 : 또 기록에도 말하기를 상과 제사는 

從先祖(종선조)라하니 : 선조에 따른다 하니 

曰吾有所受之也(왈오유소수지야)니이다 : 말하자면 우리도 받은 바가 있소이다.

謂然友曰吾他日(위연우왈오타일)에 : 세자가 연우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가 평상시에 

未嘗學問(미상학문)이요 : 일찍 학문을 하지 못했고 

好馳馬試劍(호치마시검)이러니 : 말달리기와 검술을 시럼하기를 좋아하였더니 

今也(금야)에 : 이제 와서

父兄百官(부형백관)이 : 부형과 백관들이 

不我足也(불아족야)하니 : 나를 부족하게 여기니

恐其不能盡於大事(공기불능진어대사)하노니 : 대사를 극진히 다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노니 

子爲我問孟子(자위아문맹자)하라 : 자네가 나를 위해 맹자께 물어보라 

然友復之鄒(연우복지추)하여 : 연우가 다시 추에 가서 

問孟子(문맹자)한대 : 맹자께 물으니 

孟子曰然(맹자왈연)하다 : 맹자가 말하기를, 그렇다 

不可以他求者也(불가이타구자야)라 : 다른 데서 구할 것이 아니다 

孔子曰君薨(공자왈군훙)커시든 : 공자께서 말하기를 임금이 죽으면 

聽於冢宰(청어총재)하나니 : 총재에게 결재를 받는다 하니 

歠粥(철죽)하고 : 죽을 마시고 

面深墨(면심묵)하여 : 얼굴이 검게 되어

卽位而哭(즉위이곡)이어든 : 상제의 자리에 나아가 곡을 하면 

百官有司莫敢不哀(백관유사막감불애)는 : 백관과 유사들이 슬퍼하지 않을 사람이 없는 것은 

先之也(선지야)라 : 먼저 하기 때문이다. 

上有好者(상유호자)면 : 위에 좋아하는 사람이 있으면 

下必有甚焉者矣(하필유심언자의)니 : 아래에는 반드시 더욱 심한 사람이 있는 법이니 

君子之德(군자지덕)은 : 군자의 덕은

 風也(풍야)요 : 바람과 같고

小人之德(소인지덕)은 : 소인의 덕은 

草也(초야)니 : 풀과 같아서 

草尙之風(초상지풍)이면 : 풀 위에 바람이 더하면

必偃(필언)이라하시니 : 풀은 반드시 쓰러진다 하니 

是在世子(시재세자)하니라 : 이것은 세자에게 달려 있느니라 

然友反命(연우반명)한대 : 연우가 돌아가 보고하니 

世子曰然(세자왈연)하다 : 세자가 말하기를, 참으로 그렇다

是誠在我(시성재아)라하시고 : 이거야말로 진실로 나에게 달려 있다 

五月居盧(오월거로)하여 : 다섯 달 동안을 여막에 거처하며 

未有命戒(미유명계)어늘 : 명령과 경계가 없거늘 

百官族人(백관족인)이 : 백관과 족인들이 

可謂曰知(가위왈지)라하며 : 모두 다 예법을 안다고 말하고 

及至葬(급지장)하여 : 장례를 치름에 이르러서 

四方(사방)이 : 사방 사람들이 

來觀之(래관지)하더니 : 다 와서 보더니 

顔色之戚(안색지척)과 : 얼굴빛에 슬퍼함과 

哭泣之哀(곡읍지애)에 : 곡을 함이 애통함에 

弔者大悅(조자대열)하더라 : 조상하는 사람들이 크게 만족하게 생각하더라


맹자

맹자는 총7편으로 되어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등문공 1.滕文公爲世子(등문공위세자) 2011.12.13 4896
등문공 2.滕定公薨(등정공훙) 2011.12.19 3747
등문공 3.滕文公問爲國(등문공문위국) 2011.12.19 4824
등문공 4.神農之言者許行(신농지언자허행) 2011.12.19 4784
등문공 5.墨子夷之(묵자이지) 2011.12.19 4148
등문공 6.枉尺直尋(왕척직심) 2011.12.19 4145
등문공 7.公孫衍張儀(공손연장의) 2011.12.19 4049
등문공 8.孔子三月無君(공자삼월무군) 2011.12.23 3821
등문공 9.食志乎食功乎(식지호식공호) 2011.12.23 3666
등문공 10.宋小國也(송소국야) 2011.12.23 3764
등문공 11.戴不勝(대불승) 2011.12.23 3771
등문공 12.不見諸侯何意(불견제후하의) 2011.12.23 4281
등문공 13.月攘一鷄(월양일계) 2011.12.23 4103
등문공 14.夫子好辯(부자호변) 2011.12.23 4388
등문공 15.陳仲子(진중자) 2011.12.23 3988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