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15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3. 廉義篇

       염치(廉恥 : 결백하고 정직하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와 의리(義理 :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바른 도리)에 관한 이야기들

 

 

 印觀賣綿於市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 有鳶攫其綿 墮印觀家

 인관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확기면    타인관가

 

 印觀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 故 還汝

 인관     귀우서조왈     연타여면어오가     고   환여

 

 署調曰 鳶攫綿與汝 天也 吾何爲受

 서조왈    연확면여여     천야    오하위수

 

 印觀曰 然則還汝穀 署調曰 吾與汝者市二日 穀已屬汝矣

 인관왈    연즉환여곡     서조왈     오여여자시이일       곡이속여의

 

 二人相讓 幷棄於市 掌市官以聞王 竝賜爵

 이인상양    병기어시      장시관이문왕    병사작

 

 

  ☞ 인관(印觀)이 시장에서 솜을 파는데 서조(署調)라는 사람이 곡식으로 솜을 사 가지고 돌아갈 때 솔개가 그 솜을 채 가지고 인관의 집에 떨어뜨렸다.
  인관이 서조에게 (그 솜을) 돌려보내며 말하기를, "솔개가 당신의 솜을 내 집에 떨어뜨렸으므로 당신에게 돌려줍니다."
  서조가 말하기를, "솔개가 솜을 채다가 당신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것입니다. 내가 어찌 받을 수 있겠습니까?"
  인관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당신의 곡식을 돌려주겠소."
  서조가 말하기를, "내가 당신에게 준 것이 시장이 선지 벌써 이틀이나 지났으니 곡식은 이미 당신에게 속한 것이요."
  두 사람이 서로 사양하다가 솜과 곡식을 다 함께 장에 버렸다. 장을 맡아 다스리는 관원으로부터 이 사실을 들은 임금은 (두 사람에게) 나란히 벼슬을 주었다.

  ▷ 인관과 서조 : <삼국사절요>에 나오는 신라시대의 사람들  ▷ 綿 : 솜 면  ▷ 於 : ~에, ~에서  ▷ 以 : ~로써  ▷ 穀 : 곡식 곡  ▷ '~買之而還'의 '之'는 대명사(그, 그것)로 '綿'을 가리킴  ▷ 還 : 돌아갈 환, 돌아올 환  ▷ 鳶 : 솔개 연  ▷ 攫 : 붙잡을 확, 움켜쥘 확  ▷ 墮 : 떨어질 타  ▷ 歸 : 돌려보낼 귀, 반환할 귀  ▷ 于 : ①~에서, ~에, ~까지(어조사로 '於'와 통용) ②할 우, 행할 우  ▷ 汝 : 너 여  ▷ 吾 : 나 오  ▷ 於吾家 : 내집에.  於市 : 시장에 ▷ 還 : 돌아올 환, 돌려보낼 환  ▷ 與 : 줄 여  ▷ 也 : ~이다  *天也 : '하늘이다' 즉, 하늘의 뜻이다, 하늘이 한 일이다  ▷ 何爲 : 어떻게, 무엇 때문에  ▷ 然則(연즉) : 그러면, 그러하니  ▷ 者 : 것 자  ▷ 已 : 이미 이  ▷ 屬 : 붙을 속, 속할 속  ▷ 矣 : '~이다'(단정) →오로지 글의 끝에만 쓰임  ▷ 讓 : 사양할 양  ▷ 幷 : 함께 병  ▷ 棄 : 버릴 기  ▷ 掌 : 맡을 장  *掌市官 : 시장을 관리하는 벼슬  ▷ 以 : ~에서, ~로부터  ▷ 竝 : 나란히 병  ▷ 爵 : 벼슬 작

 

 

 

 洪耆燮 少貧甚無料

홍기섭    소빈심무료

 

 一日早 婢兒踊躍獻七兩錢曰此在鼎中

 일일조      비아용약헌칠량전왈차재정중     

 

 米可數石 柴可數馱 天賜天賜

 미가수석    시가수태    천사천사

 

 公驚曰是何金 卽書失金人推去等字 付之門楣而待

 공경왈시하금      즉서실금인추거등자        부지문미이대

 

 俄而姓劉者 來問書意 公悉言之

 아이성유자      내문서의     공실언지

 

 劉曰理無失金於人之鼎內 果天賜也 取之

    유왈리무실금어인지정내        과천사야     합취지

 

 公曰非吾物 何

  공왈비오물    하

 

 劉俯伏曰小的 昨夜 爲竊鼎來 還憐家勢蕭條而施之

 유부복왈소적    작야    위절정래       환련가세소조이시지

 

 今感公之廉价 良心自發 誓不更盜 願欲常侍 勿慮取之

 금감공지렴개       양심자발    서불갱도     원욕상시     물려취지

 

 公卽還金曰 汝之爲良則善矣 金不可取 終不受

 공즉환금왈       여지위량즉선의      금불가취    종불수

 

 後 公爲判書 其子在龍爲憲宗國舅 劉亦見信 身家大昌

 후    공위판서       기자재룡위헌종국구      유역견신     신가대창  

 

 

  ☞ 홍기섭(洪耆燮)은 젊었을 때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매우 가난하였다.
  하루는 아침에 어린 계집종이 기쁜 듯이 뛰어와서 돈 일곱 냥을 바치며 말하기를, "이것이 솥 안에 있었습니다. 이만하면 쌀이 몇 섬이요, 나무가 몇 짐입니다. 참으로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 하늘이 주신 것이죠."
  공이 놀래서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된 돈인가?"하고, 돈 잃어버린 사람은 와서 찾아가라는 등의 글을 써서 대문 위에 붙였다.
  얼마 후 성이 유(劉)라는 사람이 찾아와 글 뜻을 묻자, 공은 자세히 그 내용을 말해주었다.
  유가 말하기를, "남의 솥 안에다 돈을 잃어버릴 사람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참말로 하늘이 주신 것인데 왜 취하지 않으시는 것입니까."
  공이 말하기를, "나의 물건이 아닌데 어찌 가질 것이요."
  유가 꿇어 엎드리며 말했다. "소인이 어젯밤 솥을 훔치러 왔다가 도리어 가세(家勢)가 너무 쓸쓸한 것을 불쌍히 여겨 이것을 놓고 돌아갔습니다. 지금 공의 고결하며 탐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을 보고 감복되어 양심이 저절로 일어나 도둑질을 아니할 것을 맹세하옵고, 앞으로는 늘 옆에 모시기를 원하오니 걱정 마시고 그 돈을 취하기를 바랍니다."
  공이 바로 돈을 돌려주며 말하기를, "당신이 선량한 사람이 된 것은 참 좋으나 이 돈은 가질 수 없소."하고 끝끝내 받지 않았다.
  훗날 공은 판서가 되고 그의 아들 재룡(在龍)이 헌종(憲宗)의 국구(國舅 : 임금의 장인)가 되었으며, 유가도 또한 신임을 얻어서 몸과 집안이 크게 번창하였다.

  ▷ 홍기섭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형조판서와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少 : 어릴 소  ▷ 甚 : 심할 심  ▷ 料 : 헤아릴 료  ▷ 婢 : 계집종 비  ▷ 踊 : 뛸 용  躍 : 뛸 약  *踊躍(용약) : 기쁘거나 좋아서 뜀  ▷ 獻 : 바칠 헌  ▷ 此 : 이 차  ▷ 鼎 : 솥 정  ▷ 數 : 몇 수  ▷ 石 : 섬 석 *한 섬은 열 말  ▷ 柴 : 섶 시, 땔나무 시  ▷ 馱 : 짐 실을 태, 짐 태  ▷ 賜 : 줄 사  ▷ 是 : 이 시, 이것 시  ▷ 卽 : 곧, 바로, 즉시  ▷ 書 : 쓸 서  ▷ 推去(추거) : 찾아서 가져 감  ▷ 付 : 붙일 부  ▷ 楣 : 문미(門楣) 미, 처마 미  ▷ 而 : ~하고, ~하여  ▷ 待 : 기다릴 대  ▷ 俄 : 갑자기 아, 잠깐 아  *俄而 : 얼마후, 잠시후  ▷ 悉 : 모두 실, 다 실  ▷ 於 : ~에  '於人之鼎內' : 다른 사람의 솥 안에  ▷ 果 : 과연 과  ▷  : 어찌 아니할 합  ▷ 俯 : 구부릴 부  *俯伏 : 고개를 숙이고 엎드림  ▷ 小的 = 小人  ▷ 昨 : 어제 작  ▷ 竊 : 훔칠 절, 도둑 절  ▷ '爲竊鼎來'의 '爲'는 할 위, '公爲判書'의 '爲'는 될 위  ▷ 還 : 도리어, 오히려(부사)  *'公卽還金曰'의 '還'은 돌려보낼 환  ▷ 憐 : 불쌍히 여길 련  ▷ 蕭 : 쓸쓸할 소  *蕭條(소조) : 호젓하고 쓸쓸함  ▷ 施 : 베풀 시, 줄 시  *'施之'의 '之'는 그, 그것(대명사)의 뜻으로 돈을 말함  ▷ 廉 : 청렴할 렴  ▷ 价 : 착할 개  ▷ 誓 : 맹세할 서  ▷ 更 : 다시 갱  ▷ 常 : 항상 상  ▷ 侍 : 모실 시  ▷ 勿 : 말 물(금지)  ▷ 慮 : 걱정할 려, 근심할 려, 생각할 려  ▷ 則(즉) : ~하면  ▷ 判書(판서) : 현재의 장관격  ▷ 헌종 : 조선 제24대왕  ▷ 舅 : 시아비 구, 장인 구  ▷ 見 : 피동형으로 만들어 '~하게 되다, ~에게 ~당하다(받다)'의 뜻  *見信 : 신임을 받다  ▷ 昌 : 창성할 창

 

 

 

 高句麗平原王之女 幼時好啼 王戱曰以汝將歸愚溫達

 고구려평원왕지녀      유시호제        왕희왈이여장귀우온달

 

 及長 欲下嫁于上部高氏 女以王不可食言 固辭 終爲溫達之妻

 급장    욕하가우상부고씨         여이왕불가식언     고사     종위온달지처  

 

 蓋溫達家貧 行乞養母 時人目爲愚溫達也

 개온달가빈     행걸양모      시인목위우온달야  

 

 一日 溫達自山中 負楡皮而來 王女訪見曰吾乃子之匹也

 일일    온달자산중      부유피이래        왕녀방견왈오내자지필야     

 

 乃賣首飾而買田宅器物 頗富 多養馬以資溫達 終爲顯榮

 내매수식이매전택기물        파부      다양마이자온달     종위현영

 

 

  ☞ 고구려 평원왕의 딸이 어렸을 때 울기를 좋아하니 왕이 놀리며 말하기를, "너를 장차 바보 온달에게 시집보내겠다."
  (딸이) 자라서 상부 고씨에게 시집을 보내려고 하니 딸이 임금은 식언(食言,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하고 굳이 사양하고 마침내 온달의 아내가 되었다.
  대개 온달은 집이 가난하여 빌어다가 어머니를 봉양하니 그때 사람들이 이를 보고 바보 온달이라고 하였다.
  하루는 온달이 산 속으로부터 느티나무 껍질을 짊어지고 돌아오니 임금의 딸이 찾아와 보고 말하기를, "나는 바로 그대의 아내입니다."하고 비녀 등 장식품을 팔아 밭과 집과 살림살이를 사서 매우 부유해지고, 말을 많이 길러 온달을 도와 마침내 영달하고 이름이 빛나게 되었다.

  ▷ 온달 : 고구려의 장군으로 신라와의 아차산성(서울 광나루 아차산)전투에서 전사.  ▷ 幼 : 어릴 유  ▷ 啼 : 울 제  ▷ 戱 : 희롱할 희  ▷ 以 : ~을(목적격 조사)  *以汝 : 너를  ▷ 將 : 장차 장  ▷ 歸 : 시집갈 귀, 시집보낼 귀  ▷ 及 : 미칠 급, 이를 급  ▷ 嫁: 시집갈 가  *下嫁(하가) : 공주가 신하의 집안으로 시집감을 이르는 말  ▷ 于 : ~에  ▷ 以王 : 임금으로서  ▷ 食言(식언) : 약속한 말을 지키지 아니함  ▷ 固 : 굳을 고, 한결같을 고  ▷ 辭 : 사양할 사  *固辭 : 굳이 사양함  ▷ 終 : 마침내, 끝내  ▷ 爲 : 될 위, 할 위  ▷ 蓋 : 대개 개  ▷ 乞 : 빌 걸  ▷ 目 : 눈여겨 볼 목, 주의하여 볼 목  ▷ 自 : ~로부터  ▷ 楡 : 느릅나무 유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함  ▷ 乃 : 곧 내, 이에 내  ▷ 匹 : 짝 필  ▷ 飾 : 꾸밀 식, 치장할 식  ▷ 而 : ~하여  ▷ 宅 : 집 택  ▷ 器物 = 器皿(기명) : 살림살이에 쓰는 온갖 그릇  *皿 : 그릇 명  ▷ 頗 : 자못, 매우, 몹시  ▷ 資 : 도울 자  ▷ 顯 : 영달할 현, 나타날 현  ▷ 榮 : 영화 영

 



 

 24. 勸學篇

        배움에는 남녀노소가 없는 법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래년  

 

 日月逝矣 歲不我延 嗚呼老矣 是誰之愆

 일월서의    세불아연     오호로의     시수지건

 

 

  ☞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올해에 배우지 아니하고서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날과 달은 흐르니 세월은 나를 위하여 더디 가지 않는다. 아! 늙었구나. 이 누구의 허물인가."

  ▷ 勿 : 말 물(금지)  ▷ 謂 : 이를 위  *勿謂 : ~라고 이르지(말하지) 말라  ▷ 而 : ~하고(하여)  ▷ 逝 : 갈 서, 떠날 서, 죽을 서  ▷ '日月逝矣'의 '矣'는 ~이다(단정).  '嗚呼老矣'의 '矣'는 ~구나(강조)  ▷ 延 : 끌 연, 늘일 연  ▷ 嗚 : 탄식할 오  ▷ 呼 : 부를 호  *嗚呼 : '아, ~구나!'(감탄사)  ▷ 是 : 이 시  ▷ 誰 : 누구 수  ▷ 愆 : 허물 건, 죄 건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소년이로학난성      일촌광음불가경

 

 未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미각지당춘초몽      계전오엽이추성

 

 

  ☞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이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라. 못가의 봄 풀은 아직 꿈에서 깨어나지 못했는가 싶더니 섬돌 앞의 오동나뭇잎은 벌써 가을의 소리를 내는구나.

  ▷ 易(쉬울 이) ↔ 難(어려울 난)  ▷ 一寸光陰 = 寸刻(촌각) : 매우 짧은 시간  ▷ 輕 : 가벼울 경  ▷ 覺 : ①깨달을 각, 알 각 ②꿈 깰 교  ▷ 池 : 못 지, 塘 : 못 당  *池塘(지당) = 못(작은 못을 연못이라 한다)  ▷ 階 : 섬돌 계, 층계 계  *섬돌 : 돌계단, 돌층계  ▷ 梧 : 오동나무 오  ▷ 已 : 이미 이

 

 

 

 陶淵明詩云 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

 도연명시운     성년부중래      일일난재신

 

 及時當勉勵 歲月不待人

 급시당면려     세월부대인

 

 

  ☞ 도연명의 시에 이르기를, "젊은 시절은 거듭 오지 아니하고, 하루에 새벽도 두 번 있기 어려우니, 젊었을 때에 마땅히 학문에 힘써라.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으니..."

  ▷ 도연명 : 자(字)는 연명(淵明) 또는 원량(元亮). 이름은 잠(潛)이고 시호는 정절선생(靖節先生)이다. 동진(東晋) ·송대(宋代)의 뛰어난 시인으로 <도화원기> <귀거래사(歸去來辭)>로 유명하다.  ▷ 盛 : 성할 성  *盛年 : 혈기 왕성한 한창때의 나이  ▷ 重 : 거듭 중  ▷ 晨 : 새벽 신  ▷ 及 : 이를 급  *及時 : 때에 이르러(공부하기 좋은 젊은 때에)  ▷ 當 : 마땅할 당  ▷ 勉 : 힘쓸 면, 勵 : 힘쓸 려  *勉勵 : (스스로) 힘써 함  ▷ 待 : 기다릴 대

 

 

 

 荀子曰 不積跬步 無以至千里 不積小流 無以成江河

 순자왈    부적규보      무이지천리      부적소류     무이성강하

 

 

  ☞ 순자가 말하기를, "반걸음을 쌓지 않으면 천리에 이르지 못할 것이요, 작은 물줄기가 모이지 않으면 강을 이루지 못할 것이다."

  ▷ 積 : 쌓을 적  ▷ 跬 : 반 걸음 규  ▷ 無以 : ~을 가지고(以) ~할 수가 없다(無)  ▷ 중국에서는 양자강을 강(江), 황하를 하(河)라고 약칭하며, 양자강과 황하를 합쳐 江河라고 한다.


명심보감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1. 繼善篇 1828
2. 天命篇 1616
3. 順命篇 1549
4. 孝行篇 1545
5. 正己篇 1705
6. 安分篇 1524
7. 存心篇 1697
8. 戒性篇 1599
9. 勤學篇 1599
10. 訓子篇 1583
11. 省心篇 上 1702
11.省心篇 下 1609
12. 立敎篇 1858
13. 治政篇 1447
14. 治家篇 1398
15. 安義篇 16. 遵禮篇 1381
17. 言語篇 18. 交友篇 1681
19. 婦行篇,20. 增補篇 1315
21. 八反歌 八首 22. 續孝行篇 1606
23. 廉義篇 24. 勸學篇 1568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