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15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 孝行篇

       백행(百行)의 근본이라 하는 효(孝)에 관한 글귀들이 쓰여 있다.

 

 

詩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生我

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欲報深恩 昊天罔極

 욕보심은     호천망극

 

 

  ☞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아버지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 나를 기르시니, 아! 슬프도다, 부모님이시여,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시고 고생하셨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하나, 은혜가 넓은 하늘과 같아 끝이 없네."

  ▷ 詩는 시경(詩經)을 말한다.  ▷ 혜(兮) : 멈춤·완만함·감정·감탄을 나타내는 어조사. '~여!, ~인가!'  ▷ 生 : 낳다, 살다  ▷ 鞠 : 기를 국  ▷ 哀 : 슬플 애  ▷  : 수고로울 구  ▷ 勞 : 일할 로, 힘쓸 로  ▷ 欲 : 하고자 할 욕, 바랄 욕  ▷ 昊 : 넓을 호, 하늘 호  ▷ 罔 : 없을 망, 그물 망, 속일 망  ▷ 極 : 다할 극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 공자가 말하기를, "효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 기거하심에는 그 공경을 다하고, 봉양할 때에는 즐거움을 다 하며, 병드신 때에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가셨을 때에는 슬픔을 다하며, 제사를 지낼 때에는 엄숙함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 事 : 섬길 사  ▷ 親 : 어버이 친  ▷ 也 : 글의 끝에 쓰일 때에는 긍정하거나 판단함을 나타내고(~이다, ~다), 글의 중간에 쓰일 때에는 멈춤을 나타낸다(~이, ~는, ~에, ~와)  ▷ 居 : 살 거, 있을 거  ▷ 則 : 곧 즉( ~하면 곧), 법 칙  ▷ 致 : 이를 치, 다할 치  ▷ 其 : 그 기  ▷ 養 : 기를 양, 가르칠 양, 다스릴 양, 봉양할 양  ▷ 憂 : 근심할 우  ▷ 喪 : 죽을 상. 여기서는 '어버이의 상을 당하다'의 뜻  ▷ 祭 : 제사 제  ▷ 嚴 : 엄할 엄

 

 

 

 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 부모가 살아 계시면 멀리 떠나지 말 것이며, 떠나더라도 반드시 가는 방향을 알려야 한다.

  ▷ 遊 : 놀 유, 여행할 유  ▷ 方 : 모(네모), 방위·방향, 곳·장소, 방법, 바르다(방정方正)

 

 

 

 父命召 唯而不諾 食在口則吐之

부명소    유이불락      식재구즉토지

 

 

  ☞ 아버지가 부르시면 즉시 예, 하고 대답하고 머뭇거리지 않으며, 음식이 입에 있으면 이를 곧 뱉어야 한다.

  ▷ 召 : 부를 소  ▷ 唯 : 오직 유, 대답할 유. 여기서는 부를 때 대답하는 소리('예')를 뜻한다  ▷ 諾 : 대답할 락, 승낙할 락. 不諾은 대답만 하고 바로 응하지 않음  ▷ 食 : 먹을 식, 밥 식  ▷ 吐 : 토할 토

 

 

 

 太公曰 孝於親 子亦孝之 身旣不孝 子何孝焉

 태공왈   효어친     자역효지     신기불효     자하효언

 

 

  ☞ 태공이 말하기를,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내 자식이 또한 나에게 효도하기 마련이니, 자신이 어버이에게 효도를 하지 않았는데 자식이 어찌 나에게 효도하겠는가?"

  ▷ 於 : ~에게, ~에  ▷ 親 : 어버이 친  ▷ 亦 : 또 역  ▷ 之 : 지시대명사  ▷ 旣 : 이미 기(과거를 나타냄)  ▷ 何 : 어찌 하, 무엇 하  ▷ 焉 : 어찌 언, 이에 언, 여기 언

 

 

 

孝順還生孝順子 逆還生逆子

효순환생효순자        오역환생오역자

 

不信但看頭水 點點滴滴不差移

불신단간첨두수       점점적적불차이

 

 

  ☞ 효도하고 순종하는 사람은 또한 효순(孝順)한 자식을 낳으며, 부모에게 거역하는 사람은 또한 거역하는 자식을 낳는다. 이를 믿지 못하겠거든 저 처마 끝의 낙수를 보라.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이 정확하여 어긋남이 없는 것을.

  ▷ 順은 순응(順應)·순종(順從)한다는 뜻  ▷ 還 : 돌아올 환. 여기서는 '다시, 도리어, 도로'의 부사로 쓰였음  ▷  : 거스를 오  ▷ 逆 : 거스를 역  ▷ 但 : 다만 단, 무릇 단  ▷ 看 : 볼 간  ▷  : 처마 첨  ▷ 點 : 점 점  ▷ 滴 : 물방울 적  ▷ 差 : 어긋날 차  ▷ 移 : 옮길 이


명심보감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1. 繼善篇 1828
2. 天命篇 1616
3. 順命篇 1549
4. 孝行篇 1545
5. 正己篇 1705
6. 安分篇 1524
7. 存心篇 1697
8. 戒性篇 1600
9. 勤學篇 1599
10. 訓子篇 1583
11. 省心篇 上 1702
11.省心篇 下 1609
12. 立敎篇 1858
13. 治政篇 1447
14. 治家篇 1399
15. 安義篇 16. 遵禮篇 1381
17. 言語篇 18. 交友篇 1682
19. 婦行篇,20. 增補篇 1315
21. 八反歌 八首 22. 續孝行篇 1606
23. 廉義篇 24. 勸學篇 1572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