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30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서의 조건(條件)]  

삼한(三韓)갑족이라는 신라, 고려, 조선 3조에 걸쳐 대대로 문벌이 높은 집안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역사 전(全) 시대에 걸쳐 학문(學問) 및 관위(官位)에서 드러난 조상을 둔 집안이 아니면 감히 삼한의 갑족, 벌족(閥族)이라는 말을 쓸 수가 없다. 우리 광김(光金)은 신라 시대에는 대보공(大輔公) 휘 알지(閼智) 후손으로 신라 역대 56왕 중 38왕을 배출한 왕족(王族)이었고, 전남 광주 지역으로 은거하신 시조공이 왕자였으며, 2세(世) 휘 식(軾)께서 신라 관위 상신급(相臣級) 각각(角干)이었다. 나아가 고려조에 이르러서도 문안공 휘 양감(良鑑)께서 동방 이학(理學)의 종사(宗師)로서 공맹(孔孟)의 사학(斯學)을 우리 나라에 처음 도입하였을 뿐 아니라, 아래에서 보듯이 증직(贈職)을 포함한 정승 상신(相臣) 10여 분을 배출한 대단한 명문거족이었다.  


※광김의 고려조(高麗朝) 상신(相臣)

1. 2世 휘 식(軾)…각간(角干)은 신라의 1품 관직인데, 보첩(譜牒)에서 평장지질(平章之秩)이라 하였음.

2. 3世 휘 길(佶)…삼중대광사공(三重大匡司空)으로 상신급 

3. 4世 휘 준(峻)…삼중대광좌복야(三重大匡左僕射)로 상신급 

4. 5世 휘 책(策)…좌복야(左僕射) 한림학사(翰林學士) 평장사(平章事), 시호(諡號) 문정(文貞) 

5. 6世 휘 정준(廷俊)…수사도(守司徒) 문하시랑평장사 

6. 7世 휘 양감(良鑑)…중서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상서호부사(判 尙書戶部事), 수태보(守太保) 문하시중, 감수국사(監修國史), 시호 문안(文安) 

7. 8世 휘 약온(若溫)…평장사, 시호 사정(思靖) 

8. 8世 휘 의원(義元)…고려 문종조에 등과하여 호부상서(戶部尙書) 삼사사(三司使), 시호 충정(忠貞)

9. 13世 휘 대린(大鱗)…증문하시랑평장사 판병부사(判兵部事)

10. 13世 휘 경량(鏡亮)…증(贈)문하평장사 

11. 15世 휘 사형(士亨)…참지정사(參知政事) 

12. 15세 휘 태현(台鉉)…삼중대광문하시중, 수문관대제학(修文館大提學), 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 시호 문정(文貞)

13. 15세 휘 심(深)…벽상삼한(壁上三韓) 삼중대광 도첨의(都僉議) 우정승(右政丞), 판총부(判摠部), 사헌부사(司憲府事), 상호군(上護軍), 시호 충숙(忠肅) 

14. 15세 휘 유(流)…문하시중 15. 16세 휘 석견(石堅)…밀직부사(密直副使), 광정대부(匡靖大夫) 삼사우사(三司右使) 상호군(上護軍), 사재시사(司宰寺事) 도첨의(都僉 議) 우정승(右政丞) 참고 : 평장리(平章里)의 유허비각(遺墟碑閣)의 주련(珠聯)에서 보듯이 광김의 고려조 평장사는 모두 8분이라 하였는데, 또한 수다한 기록에서 '12평장사'라고도 하는 까닭은 증직을 포함한 광김 고려조 상신급 관위자가 위와 같이 많았기 때문이었음.

※광김의 고려조(高麗朝) 두문동(杜門洞) 제현(諸賢) 1. 휘 승길(承吉)…휘 인우(仁雨)의 子로 호는 사은(沙隱)이며 함종현령(咸從縣令)이었음. 2. 휘 약시(若時)…휘 영리(永利)의 손(孫)으로 직제학(直提學)이었음.      

[(2) 부자(父子) 문묘 배향과 동국18현(東國十八賢)]    

우리 광김이 삼한 갑족 중 제1로 손꼽히는 두 번째의 이유로는 공자(孔子), 맹자(孟子) 등 5성(五聖)과 민손(閔損)등 공문10철(孔門十哲), 주돈이(周頓이) 등 송조 6현(宋朝六賢) 기타와 함께 중앙의 성균관(成均館) 및 고을 향교(鄕校) 등에서 제향(祭享)을 받는 동국 18현 중 일문(一門)에 부자(父子) 두 분 곧 사계(沙溪), 신독재(愼獨齋) 선생을 배출하였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 문묘의 배향을 받는 조상이 난 씨족은 다음 표에서 보듯이 신라, 고려, 조선 3한을 통하여 16씨족뿐인데, 일문에서 두 분이 배향된 예는 우리 광김과 은진송씨(恩津宋氏)가 있었다. 


문묘(文廟)는 공자 이래 2000여 년 유학(儒學)을 발전시켜 온 중국 및 우리 나라 대학자들의 위패(位牌)를 그 곳 대성전(大成殿)에 봉안(奉安)하여 제향(祭享)하는 곳으로 우리 문묘는 현재 서울 명륜동 3가에 소재한다. 


3 성명 관향 아호 관직 및 기타 

1 薛 聰 경주 雨堂 신라 고승 元曉의 子로 神文王 때 翰林으로 弘儒侯로 追封 

2 崔致遠 경주 孤雲 신라 때 唐나라로 가 修學하고 돌아와 翰林學士로 시호는 文昌侯

3 安 裕 순흥 晦軒 고려 忠烈王 때 修文館太學士로 시호는 文成公

4 鄭夢周 연일 圃隱 고려 恭愍王 때 관이 門下侍中으로 시호는 文忠公

5 金宏弼 서흥 寒暄堂 刑曹佐郞이었고 조선 中宗 때 右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敬公

6 鄭汝昌 하동 一두 縣監이었고 右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獻公 

7 趙光祖 한양 靜菴 大司憲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正公

8 李彦迪 여주 晦齋 左贊成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元公 

9 李 滉 진성 退溪 大提學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純公 

10 金麟厚 울산 河西 弘文館校理였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正公 

11 李 珥 덕수 栗谷 吏曹判書였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成公 

12 成 渾 창녕 牛溪 左參贊이었고 右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簡公 

13 金長生 광산 沙溪 刑曹參判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元公 

14 趙 憲 백천 重峯 僉正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敬公 

15 金 集 광산 愼獨齋 判中樞府事였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敬公 

16 宋時烈 은진 尤菴 左議政이었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正公 

17 宋浚吉 은진 同春堂 吏曹判書였고 領議政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文正公 

18 朴世采 반남 玄石 左議政이었고 시호는 文純公 

   

우리 나라 문묘 제도는 중앙에 성균관이 있고, 각 고을에 향교가 있으며, '대성전'에서는 공자 이하 고대 중국 이래의 성(聖) 현(賢) 제위(諸位)와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享祀)를 하여 오는데, 중앙 '성균관'에서는 5성(五聖), 공문 10철(孔門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중국 역대제현(歷代諸賢) 94위 및 동국 18현 도합 133위를 봉향(奉享)한다. 

그리고 각 고을 향교 중에서 주(州), 부(府), 군(郡) 곧 목사(牧使), 부사(府使), 군수(郡守)가 다스리는 고을에서는 소위 중설위(中設位)라 하여 '5성, 공문 10철, 송조 6현, 동국 18현'등 39위를 봉향하며, 현(縣) 곧 현령(縣令), 현감(縣監)이 다스리는 고을에서는 소설위(小設位)로 '5성, 송조 4현(周濂溪, 程明道, 程伊川, 朱晦菴), 동국 18현'등 27위만 봉향한다. 

  광김은 우리 나라 예학(禮學)의 태두로 문묘에 배향된 위 두 분 선조를 두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앞에서 보았듯이 고려조에서도 '공자' 이래의 유학과 문묘의 제도를 처음 도입한 7세 문안공 휘 양감(良鑑)이 드러났고, 조선초부터 도덕과 학행이 뛰어난 분들이 많이 나와서 유학(儒學)의 대통을 계승하고 나아가서는 예문(禮文) 종가(宗家)로서 조선 사회의 정신을 지배한 대학자들이 연면히 이어져 왔음을 자랑으로 삼는다. 


* 참고 : 대성전에서 봉향하는 고대 중국 이래의 성현 1. 5성…孔子(丘, 仲尼), 顔子(回, 子淵), 曾子(參, 子輿), 子思(伋, 子思), 孟子(軻, 子車) 2. 공문10철…閔損(子騫), 冉耕(伯牛), 冉雍(仲弓), 宰予(子我), 端木賜(子貢), 冉求(子有), 仲由(子路), 言偃(子游), 卜商(子夏), 顓孫師(子張) 3. 송조6현…周敦頤(茂叔, 濂溪), 程顥(伯淳, 明道), 程頤(正淑, 伊川), 邵雍(堯夫, 安樂), 張載(子厚, 橫渠), 朱熹(仲晦, 晦菴) 4. 중국 역대 94현…澹臺滅明, 原憲, 南宮适, 商翟, 漆雕開, 公西赤, 樊須, 梁鱣(전), 冉孺, 伯虔, 冉季, 漆雕哆, 漆雕徒父, 商澤, 任不齊, 公良孺, 秦冉, 公肩定, 鄡(교)單, 罕父黑, 公祖句玆, 縣成, 燕伋, 顔之僕, 樂欬(해), 顔何, 狄黑, 孔忠, 公西蒧(점), 施之常, 秦非, 申棖(정), 顔噲(쾌), 左丘明, 穀梁赤, 宓(복)不齊, 公冶長, 公晳哀, 高柴(시), 司馬耕, 有若, 巫馬施, 顔辛, 曹卹, 公孫龍, 秦商, 顔高, 壤駟赤, 石作蜀, 公夏首, 後處, 奚容蒧, 顔祖, 句井疆, 秦祖, 榮旂(기), 左人郢(영), 鄭國, 原亢, 廉潔, 叔仲會, 邽(규)巽, 公西輿如, 蘧瑗, 林放, 陳亢, 琴張, 步叔乘, 公羊高(이상 69명 周)/高堂生, 毛萇, 劉向, 鄭衆, 盧植, 服虔, 伏勝, 戴聖, 董仲舒, 孔安國, 杜士春, 鄭玄(이상 12명 漢)/范甯(영)(이상 1명 晉)/韓愈(이상 1명 唐)/楊時, 胡安國, 張栻, 黃榦, 眞德秀, 司馬光, 羅從彦, 李侗, 呂祖謙, 蔡沈(이상 10명 宋)/許衡(이상 1명 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사계 김장생 file 有司 2013.09.21 2365
14 조선조(朝鮮朝) 종묘(宗廟) 배향(配享) 공신록(功臣錄) gareul 2013.01.08 1815
13 문묘배향 gareul 2013.01.08 2132
12 문중제향 관련용어 gareul 2012.12.27 1639
11 시조공과 파계보 gareul 2012.12.27 1600
10 호(號)와 자(字) gareul 2012.06.07 1762
9 광산인(光山人) 시호 일람표(諡號 一覽表) gareul 2012.06.07 1604
8 시호문자(諡號文字)의 정의(定義) gareul 2012.06.07 1679
7 김씨(金氏)의 유래(由來) gareul 2012.06.07 1757
6 선조(先祖) 주요 제향(祭享) 일정표 gareul 2012.06.07 1672
5 문묘배향(文廟配享) 동국18현(東國十八賢) gareul 2012.06.07 2114
4 간지연대표 gareul 2011.12.15 2023
3 14世 양간공(良簡公) 휘 연(諱 璉)의 고찰(考察) gareul 2011.11.26 1746
2 1. 光山金氏 五派 gareul 2011.11.26 1712
»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gareul 2011.11.26 3040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