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16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산인(光山人) 시호 일람표(諡號 一覽表)



No

휘자(諱字)

직    위 (職   位)

생∼졸(나이)

시호(諡號)

1

5

책(策)

좌복야,평장사(左僕射,平章事)

 

문정공(文貞公)

2

7

양감(良鑑)

수태보,문하시중(守太保,門下侍中)

 

문안공(文安公)

3

8

약온(若溫)

수사공,문하시중(守司空,門下侍中)

1059∼1140 (82)

사정공(思靖公)

4

8

의원(義元)

호부상서,삼사사(戶部尙書,三司使)

1066∼1148 (83)

충정공(忠貞公)

5

12

원의(元義)

수태보,문하시랑(守太保,門下侍郞)

1147∼1217 (71)

경간공(景簡公)

6

14

연(鍊)

수태위 참지정사 이부상서 상장군 판삼사사

       ~1278년

광정공(匡靖公)

7

14

주정(周鼎)

동수국사 판삼사사(同修國史 判三司事)

1228∼1290 (63)

문숙공(文肅公)

8

14

연(璉)

첨의시랑 찬성사 (僉議侍郞 贊成事)

1215∼1291 (77)

양간공(良簡公)

9

15

지숙(之淑)

도첨의 중찬 (都僉議 中贊)

1238∼1310 (73)

광절공(匡節公)

10

15

태현(台鉉)

문하시중, 대제학(門下侍中, 大提學)

1261∼1330 (70)

문정공(文正公)

11

15

심(深)

도첨의 중찬(都僉議 中贊)

1262∼1338 (77)

충숙공(忠肅公)

12

15

사원(士元)

첨의시랑 찬성사 (僉議侍郞 贊成事)

1257∼1319 (63)

정경공(貞景公)

13

16

인연(仁沇)

도첨의 찬성사 (都僉議 贊成事)

 

경열공(敬烈公)

14

16

광철(光轍)

판 밀직사사 (判 密直司事)

       ∼1349

문민공(文敏公)

15

16

광재(光載)

전리판서,대제학(典理判書,大提學)

1294∼1363 (70)

문간공(文簡公)

16

16

진(진)

정당문학,대제학(政堂文學,大提學)

1292∼

장영공(章榮公)

17

17

속명(續命)

첨의평리(僉議評理)

       ∼1386

충간공(忠簡公)

18

별파

양경(良璥)

공조판서(工曹判書)

       ∼1484

공숙공(恭肅公

19

18

희선(希善)

호조판서(戶曹判書)

       ~1408년

원정공(元靖公)

20

19

약시(若時)

직제학, 증 이판(直提學, 贈 吏判)

1359∼1406 (64)

충정공(忠定公)

21

20

청(廳)

지 중추원사 (知 中樞院事)

 

희정공(僖靖公)

22

21

치기(恥其)

주부, 증 참찬(主簿, 贈 參贊)

 

문열공(文烈公)

23

21

예몽(禮蒙)

예조판서(禮曹判書)

1406∼1469 (64)

문경공(文敬公)

24

21

백겸(伯謙)

평안병사, 증 병판(平安兵使, 贈 兵判)

1428∼1506 (79)

양호공(襄胡公)

25

21

극성(克成)

우의정(右議政)

1474∼1540 (72)

충정공(忠貞公)

26

22

국광(國光)

좌의정(左議政)

1415∼1480(66)

정정공(丁靖公)

27

22

겸광(謙光)

좌참찬, 증 좌찬성(左參贊, 贈 左贊成)

1419∼1490 (72)

공안공(恭安公)

28

22

면(沔)

경원부사, 병사(慶源府使, 兵使)

 

장도공(莊悼公)

29

23

여석(礪石)

형조판서(刑曹判書)

1445∼1493 (49)

충목공(忠穆公)

30

23

극핍(克핍)

좌찬성(左贊成)

1472∼1531 (60)

평정공(平靖公)

31

23

부필(富弼)

유학자, 증 이판(儒學者, 贈 吏判)

1516∼1577 (62)

문순공(文純公)

32

24

구(絿)

부제학, 증 이판(副提學, 贈 吏判)

1488∼1534 (47)

문의공(文懿公)

33

24

영(영)

주서, 증 이판(注書, 贈 吏判)

1577∼1641 (65)

문정공(文貞公)

34

26

만수(萬壽)

부사, 증 공판(府使, 贈 工判)

1553∼1607 (55)

장양공(莊襄公)

35

27

장생(長生)

유종, 증 영의정 (儒宗, 贈 領議政)

1548∼1631 (84)

문원공(文元公)

36

27

우형 (宇亨)

공조판서, 입기사 (工曹判書, 入耆社)

1616∼1694 (79)

정혜공(貞惠公)

37

28

집(集)

유종, 증 영의정 (儒宗, 贈 領議政)

1574∼1656 (83)

문경공(文敬公)

38

28

득남(得男)

군수, 증 병판(郡守, 贈 兵判)

1601∼1637 (37)

충의공(忠毅公)

39

29

익희(益熙)

이판, 대제학(吏判, 大提學)

1610∼1656 (47)

문정공(文貞公)

40

29

익겸(益兼)

순절, 증 영의정(殉節, 贈 領議政)

1615∼1637 (23)

충정공(忠正公)

41

29

익훈(益勳)

형조참판, 증 이판(刑曹參判, 贈 吏判)

1619∼1689 (71)

충헌공(忠獻公)

42

30

만기(萬基)

영돈녕, 증 영의정(領敦寧, 贈 領議政)

1633∼1687 (55)

문충공(文忠公)

43

30

만중(萬重)

예조판서, 대제학(禮曹判書, 大提學)

1637∼1692 (56)

문효공(文孝公)

44

31

덕령(德齡)

의병장, 증 좌찬성(義兵將, 贈 左贊成)

1568∼1596 (29)

충장공(忠壯公)

45

31

진구(鎭龜)

호조판서(戶曹判書)

1651∼1704 (54)

경헌공(景獻公)

46

31

진규(鎭圭)

예판, 증 영의정(禮判, 贈 領議政)

1658∼1716 (59)

문청공(文淸公)

47

32

춘택(春澤)

유학자, 증 이판(儒學者, 贈 吏判)

1670∼1717 (48)

충문공(忠文公)

48

32

보택(普澤)

전라감사, 증 이판(全羅監司, 贈 吏判)

1672∼1717 (46)

익헌공(翼獻公)

49

32

운택(雲澤)

호조참판, 증 이판(戶曹參判, 贈 吏判)

1673∼1722 (50)

충정공(忠貞公)

50

32

원택(元澤)

한성판윤, 증 영상(漢城判尹, 贈 領相)

1683∼1766 (84)

효정공(孝靖公)

51

32

양택(陽澤)

영의정(領議政)

1712∼1777 (66)

문간공(文簡公)

52

33

상복(相福)

영의정(領議政)

1714∼1782 (69)

문헌공(文憲公)

53

33

상악(相岳)

동지중추, 증 이판(同知中樞, 贈 吏判)

1724∼1815 (92)

문간공(文簡公)

54

33

상휴(相休)

이조판서, 입기사(吏曹判書, 入耆社)

1757∼1827 (71)

문간공(文簡公)

55

34

희(憙)

우의정, 입기사(右議政, 入耆社)

1729∼1800 (72)

효간공(孝簡公)

56

34

기성(箕性)

호조참판, 증 도위(戶曹參判, 贈 都尉)

1752∼1811 (60)

효헌공(孝憲公)

57

34

기은(箕殷)

이조판서, 입기사(吏曹判書, 入耆社)

1766∼1843 (78)

청헌공(淸獻公)

58

34

기석(箕錫)

병판겸 판의금(兵判兼 判義禁)

1828∼1890 (63)

정무공(貞武公)

59

35

재창(在昌)

이조판서(吏曹判書)

1770∼1849 (80)

정간공(貞簡公)

60

35

재현(在顯)

이조판서, 봉조하(吏曹判書, 奉朝賀)

1808∼1899 (92)

효문공(孝文公)

61

36

상현(尙鉉)

이조판서, 봉조하(吏曹判書, 奉朝賀)

1811∼1890 (80)

문헌공(文獻公)

62

36

낙현(洛鉉)

대사헌(大司憲)

1817∼1892 (76)

문경공(文敬公)

63

36

보현(輔鉉)

이조판서(吏曹判書)

1826∼1882 (57)

문충공(文忠公)

64

37

영수(永壽)

이판, 시강원이사(吏判, 侍講院貳師)

1829∼1899 (71)

문헌공(文獻公)

65

37

영목(永穆)

이조판서(吏曹判書)

1835∼1903 (69)

문헌공(文獻公)


註)시호(諡號) :

①증시(贈諡)의 대상은

    1) 종친(宗親)과 문,무관(文,武官)중에서 정2품이상의 실직(實職)을 지낸 사람이(단, 친공신(親功臣)은 관직이 낮아도) 죽으면 시호(諡號를 주었다.
    2) 그 뒤 영조때에 속대전(續大典)을 편찬 하면서 범위가 확대되어 대제학(大提學)을 지낸자는 종2품 이라도 시호를 주며, 유현(儒賢) 및 절의(節義)에 죽은 사람으로서 특히 유표(有表)한 자는 정2품이 아니더라도 특별히 시호의 하사(下賜)를 허락 하였다.

②시호의 제정은 봉상시(奉常寺)의 정(正)이하 관원이 상의하여 결정하는데  1)수시인(受諡人)의 자손이나 관계자들이 죽은이의 행장(行狀)을 적은 풍의서(稟議書)를 예조에 제출하면 이를 심의한 뒤 봉상시(奉常寺)를 거쳐 홍문관에 이송하고, 2)홍문관은 정4품 응교(應敎) 이하의 관원 3인이 모여 시호의 삼망(三望)을 의론하여 봉상시에 회부하고, 3)봉상시는 정(正)이하 제관원(諸官員)과 홍문관 응교의 참석하에 회의 하여 결정하며,  4)결정된 시호는 의정부 사인(舍人)과 검상(檢詳) 중 1인의 서경(署經)을 받아 수시인(受諡人)의 행장(行狀)과 함께 이조에 제출하면,  5)이조에서 상주하여 삼망(三望)중 하나를 낙점(落點)받는다. (참조 : 大典會通 吏典)

③시호에 사용되는 글자는 文·忠·貞등 다음의 121자로 정하여 졌는데 그 중에서 생전의 행적에 맞는 두 글자를 조합하여 시호를 하사(下賜)하며 시호 아래에 '公' 자를 붙이어 부른다

④諡號 字順
文.忠.貞.恭.襄.靖.良.孝.莊.安.景.章.翼.昭.平.僖.武.康.正.肅.仁.敬.定.惠.懿.憲.烈.獻.簡.元.成.純.穆.敏.毅.節.淸.宣.顯.順.端.剛.榮.壯.齊.戴.義.溫.度.長.明.匡.(恪).潔.達.(裕).(懋).(桓).胡.信.質.夷.愍.悼.頃.介.(白).(隱).(修).丁.玎.懷.(果).(聖).(神).(智).弘.嚴.和.光.熙.昌.宗.愼.(諒).謙.(聰).(善).德.儀.英.克.譽.殷.寬.密.靜.(淵).眞.通.坦.堅.魏.嘉.彬.(容).益.衛.直.愷.休.靈.思.繆.려.墨.荒.(閔).(哀).상.麥.(以上 121字) (참조 : 文獻備考 제239권 東國見行諡法)

⑤역대 명신시호(名臣諡號)를 고찰 하건데 신라시대:6인, 고려시대:528인, 조선시대:2,007인등 환관(宦官) 2인을 포함하여 총 2,541명이 시호를 하사받은 기록이 있는데 전항의 ( ? )글자 18字는 명신의 시호에는 적용된 바 없으며, 위 글자 외에 아래 20자가 예외적으로 추가 사용된 기록이 있다.
淑·翊·厚·寧·威·亮·儒·敦·奉·濟·望·彰·凱·樂·積·世·廉·凝·祁·
편(참조 : 文獻備考 제 240∼241권 歷代名臣諡號)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gareul 2011.11.26 3043
14 1. 光山金氏 五派 gareul 2011.11.26 1713
13 14世 양간공(良簡公) 휘 연(諱 璉)의 고찰(考察) gareul 2011.11.26 1746
12 간지연대표 gareul 2011.12.15 2023
11 문묘배향(文廟配享) 동국18현(東國十八賢) gareul 2012.06.07 2114
10 선조(先祖) 주요 제향(祭享) 일정표 gareul 2012.06.07 1672
9 김씨(金氏)의 유래(由來) gareul 2012.06.07 1757
8 시호문자(諡號文字)의 정의(定義) gareul 2012.06.07 1679
» 광산인(光山人) 시호 일람표(諡號 一覽表) gareul 2012.06.07 1604
6 호(號)와 자(字) gareul 2012.06.07 1762
5 시조공과 파계보 gareul 2012.12.27 1600
4 문중제향 관련용어 gareul 2012.12.27 1639
3 문묘배향 gareul 2013.01.08 2132
2 조선조(朝鮮朝) 종묘(宗廟) 배향(配享) 공신록(功臣錄) gareul 2013.01.08 1816
1 사계 김장생 file 有司 2013.09.21 2368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