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18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려, 조선 시대에 국왕의 묘정(廟庭-宗廟)에 배향(配享)한 공신(功臣)을 종묘 배향 공신(宗廟配享功臣)이라 일컬었다. 

국왕(國王)이 죽으면 종묘에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선왕(先王)들과 합사(合祠)하였는데, 국왕 생전의 총신(寵臣)이나 보익(補翊)에 큰 공로가 있는 사람을 택하여 묘정에 배향하고 부제(祔祭)를 지냈다. 

국왕의 신주를 봉안할 때 모든 배향 공신을 함께 택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국왕과 특별한 관계에 있던 사람이 국왕이 죽은 후에나 늦게 죽으면 그 때에 이르러 사후에 배향하였다. 

또한 후대에 추배(追配)하는 일도 흔하였으며, 추삭(追削)되는 일도 있었다. 

이 배향 공신에 택정되는 것은 종중과 가문의 큰 영예로 인식하였으며, 후손들에게는 문음(門蔭) 등의 특전이 주어졌다.   

조선 시대에도 고려의 배향 공신 의제(儀制)를 그대로 따랐다고 하는데,  태조는 1395년(태조 4)에 새 도읍지 한양(漢陽)에 새로운 종묘를 영조(營造)하였고, 1410년(태종10)에 처음으로 태조 배향 공신을 택정하였다. 

이 때 처음 배향한 사람은 조준(趙浚), 조인옥(趙仁沃), 이화(李和), 이지란(李之蘭) 등 4명이었는데, 1421년(세종3)에 남재(南在), 남은(南誾), 이제(李濟) 등을 추배(追配)하여 조선 태조의 배향 공신은 결국 7명이 되었다. 

이와 같은 추배는 아주 신중을 기했으므로, 송시열(宋時烈)은 1776년(정조 즉위년)에야 효종묘에 배향되었고, 김창집(金昌集)도 1778년(정조 2)에 이르러서야 영조묘에 배향되었다. 

고종 때에 이르러 이 추배가 급증하였는데, 예를 들면 1865년(고종 2)에 양녕대군(讓寧大君), 효령대군(孝寧大君), 남연군(南延君) 등을 추배하였고, 1886년에는 이이(李珥), 민정중(閔鼎重), 김수항(金壽恒) 등을 택정하여 추배하였다. 

또 정통 왕위에 들지 않는 추봉왕(追封王)의 묘정에도 배향 공신을 정하여 1875년에 헌종(憲宗)의 아버지 문조(文祖;翼宗)의 묘정에 남공철(南公轍) 등 3명을, 1899년에는 정조(正祖)의 아버지 장조(莊祖)의 묘정에 이종성(李宗城) 등 2명을 각각 추배하였다. 고종대까지의 배향 공신 88명 가운데에서 고종 때에 추배된 사람이 16명으로 그 수가 크게 증대된 것은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정책에 의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조선 중기까지 강고하게 유지되었던 배향 공신의 법제적 우위성이 후기에 들어오면서 퇴색하여 가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한다. 

역대왕 가운데 단종 및 폐출된 왕(廢王)인 연산군, 광해군, 마지막 국왕인 고종, 순종은 배향 공신이 없었는데, 고종의 경우는 후에 신응조(申應朝) 등 4인을 배향하여 조선 시대 전체 배향 공신은 모두 92인이었다.





왕조(王朝)

성 명(姓名)

본 관(本貫)

관 직(官職)

아 호(雅號)

시 호(諡號)

태조조

(太祖朝)

조    준(趙  浚)

이    화(李   和)

남    재(南   在)

이   제(李   濟)

이지란(李之蘭)

남   은(南   誾)

조인옥(趙仁沃)

평 양(平 壤)

전 주(全 州)

의 령(宜 寧)

전 주(全 州)

청 해(靑海)

의령(宜 寧)

한양(漢 陽)

영의정(領議政)

의안(義安)대군

영의정(領議政)

태조부마(駙馬)

청해백(靑海伯)

절제사(節制使)

이   판(吏   判)

송당(松堂

 -

귀정(龜亭)

 -

 -

 -

 -

문충(文忠)

소도(昭悼)

충경(忠景)

경무(景武)

양렬(襄烈)

강무(剛武)

충정(忠靖)

정종조

定宗朝

이방의(李芳毅)

전 주(全 州)

익안(益安)대군

 -

안양(安襄)

태종조

(太宗朝)

하    륜(河   崙)

조영무(趙英茂)

정    탁(鄭   擢)

이천우(李千祐)

이    래(李   來)

진 주(晉 州)

한 양(漢 陽)

청 주(淸 州)

전 주(全 州)

경 주(慶 州)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완산(完山)부원군

지   사(知   事)

호정(浩亭)

 -

춘곡(春谷)

 -

 -

문충(文忠)

충무(忠武)

익경(翼景)

양도(襄度)

경절(景節)

세종조

(世宗朝)

황   희(黃   喜)

허   조(許   稠)

최윤덕(崔潤德)

신   개(申   槩)

이   제(李   禔)

이   보(李   補)

이   수(李   隨)

장 수(長 水)

하 양(河 陽)

통 천(通 川)

평 산(平 山)

전 주(全 州)

전 주(全 州)

봉 산(鳳 山)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양녕(讓寧)대군

효령(孝寧)대군

이   판(吏   判)

방촌(尨村)

경암(敬庵)

-

 인재(寅齋)

-

-

 심은(深隱)

익성(翼成)

문경(文景)

정렬(貞烈)

문희(文僖)

강정(剛靖)

정효(靖孝)

문정(文靖)

문종조

(文宗朝)

하   연(河   演)

진 주(晉 州)

영의정(領議政)

경재(警齋)

문효(文孝)

세조조

(世祖朝)

한   확(韓   確)

권   람(權   擥)

한명회(韓明澮)

청 주(淸 州)

안 동(安 東)

청 주(淸 州)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議政)

간이재(簡易齋)

소한당(所閑堂)

압구정(鴨鷗亭)

양절(襄節)

익평(翼平)

충성(忠成)

예종조

(睿宗朝)

박원형(朴元亨)

죽 산(竹 山)

영의정(領議政)

만절(晩節)

문헌(文憲)

성종조

(成宗朝)

신숙주(申叔舟)

정창손(鄭昌孫)

홍   응(洪   應)

고 령(高 靈)

동 래(東 萊)

남 양(南 陽)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보한재(保閑齋)

-

휴휴당(休休堂)

문충(文忠)

충정(忠貞)

충정(忠貞)

중종조

(中宗朝)

박원종(朴元宗)

유순정(柳順汀)

성희안(成希顔)

정광필(鄭光弼)

순 천(順 天)

진 주(晉 州)

창 녕(昌 寧)

동 래(東 萊)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

 -

인 재(仁 齋) 

수 부(守 夫) 

무열(武烈)

문성(文成)

충정(忠定)

문익(文翼)

인종조

(仁宗朝)

홍언필(洪彦弼)

김안국(金安國)

남 양(南 陽)

의 성(義 城)

영의정(領議政)

대제학(大提學)

묵 재(黙 齋)

모 재(慕 齋)

문희(文僖)

문경(文敬)

명종조

(明宗朝)

심연원(沈連源)

이언적(李彦迪)

청 송(靑 松)

여 주(驪 州)

영의정(領議政)

좌찬성(左贊成)

보 암(保 庵)

회 재(晦 齋)

충혜(忠惠)

문원(文元)

선조조

(宣祖朝)

이준경(李浚慶)

이   황(李   滉)

이   이(李   珥)

광 주(廣 州)

진 보(眞 寶)

덕 수(德 水)

영의정(領議政)

찬 성(贊 成)

찬 성(贊 成)

동 고(東 皐)

퇴 계(退 溪)

율 곡(栗 谷)

충정(忠正)

문순(文純)

문성(文成)

인조

(仁祖朝)

이원익(李元翼)

신   흠(申   欽)

신경진(申景禛)

이   귀(李   貴)

이   보(李   俌)

이   서(李   曙)

김   류(金   瑬)

전 주(全 州)

평 산(平 山)

평 산(平 山)

연 안(延 安)

전 주(全 州)

전 주(全 州)

순 천(順 天)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연평(延平)부원군

능원(綾原)대군

완풍(完豊)부원군

영의정(領議政)

오 리(梧 里)

상 촌(象 村)

-

묵재(黙齋)

담은당(湛恩堂)

월봉(月峰)

북저(北渚)

문충(文忠)

문정(文貞)

충익(忠翼)

충정(忠定)

정효(貞孝)

충정(忠正)

문충(文忠)

효종조

(孝宗朝)

김상헌(金尙憲)

김   집(金   集)

송시열(宋時烈)

민정중(閔鼎重)

민유중(閔維重)

이   준(李   濬)

안 동(安 東)

광 산(光 山)

은 진(恩 津)

여 흥(驪 興)

여 흥(驪 興)

전 주(全 州)

좌의정(左議政)

예   판(禮   判)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돈녕(領敦寧)

인평(麟平)대군

청음(淸陰)

신독재(愼獨齋)

우암(尤庵)

노봉(老峰)

둔촌(屯村)

송계(松溪)

문정(文正)

문경(文敬)

문정(文正)

문충(文忠)

문정(文貞)

충경(忠敬)

현종조

(顯宗朝)

김좌명(金佐明)

정태화(鄭太和)

김수항(金壽恒)

김만기(金萬基)

청 풍(淸 風)

동 래(東 萊)

안 동(安 東)

광 산(光 山)

예   판(禮   判)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대제학(大提學)

귀계(歸溪)

양파(陽坡)

문곡(文谷)

서석(瑞石)

충숙(忠肅)

익헌(翼憲)

문충(文忠)

문충(文忠)

숙종조

肅宗朝

남구만(南九萬)

윤지완(尹趾完)

박세채(朴世采)

김만중(金萬重)

최석정(崔錫鼎)

김석주(金錫冑)

의 령(宜 寧)

파 평(坡 平)

반 남(潘 南)

광 산(光 山)

전 주(全 州)

청 풍(淸 風)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대제학(大提學)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약천(藥泉)

동산(東山)

현석(玄石)

서포(西浦)

명곡(明谷)

식암(息庵)

문충(文忠)

충정(忠貞)

문순(文純)

문효(文孝)

문정(文貞)

문충(文忠)

경종조

景宗朝

이   유(李   濡)

민진후(閔鎭厚)

전 주(全 州)

여 흥(驪 興)

영의정(領議政)

병   판(兵   判)

녹천(鹿川)

지재(趾齋)

혜정(惠定)

문충(文忠)

영조조

英祖朝

김창집(金昌集)

최규서(崔奎瑞)

민진원(閔鎭遠)

조문명(趙文命)

김재로(金在魯)

안 동(安 東)

해 주(海 州)

여 흥(驪 興)

풍 양(豊 壤)

청 풍(淸 風)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議政)

몽와(夢窩)

소릉(少陵)

단암(丹庵)

학암(鶴岩)

청사(晴沙)

충헌(忠獻)

충정(忠貞)

문충(文忠)

문충(文忠)

정충(靖忠)

장조실

莊祖室

민백상(閔百祥)

이종성(李鍾城)

여 흥(驪 興)

경 주(慶 州)

우의정(右議政)

영의정(領議政)

 -

오천(梧川) 

정헌(正獻)

문충(文忠)

정조조

正祖朝

김종수(金鍾秀)

유언호(兪彦鎬)

김조순(金祖淳)

청 풍(淸 風)

기 계(杞 溪)

안 동(安 東)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영돈녕(領敦寧)

진솔(眞率)

칙지(則止)

풍고(楓皐)

문충(文忠)

충문(忠文)

충문(忠文)

순조조

純祖朝

이시수(李時秀)

김재찬(金載瓚)

김이교(金履喬)

조득영(趙得永)

조만영(趙萬永)

이  구(李  球)

연 안(延 安)

연 안(延 安)

안 동(安 東)

풍 양(豊 壤)

풍 양(豊 壤)

전 주(全 州)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이   판(吏   判)

영돈녕(領敦寧)

남연군(南延君)

급건(及健)

해석(海石)

죽리(竹里)

일곡(日谷)

석애(石崖)

 -

충정(忠正)

문충(文忠)

문정(文貞)

문충(文忠)

충경(忠敬)

 충정(忠正)

문조실

文祖室

남공철(南公轍)

김   로(金   鏴)

조병귀(趙秉龜)

의 령(宜 寧)

연 안(延 安)

풍 양(豊 壤)

영의정(領議政)

이   판(吏   判)

이   판(吏   判)

금릉(金陵)

 설암(雪)

 -

문헌(文憲)

문헌(文獻)

문숙(文肅)

헌종조

憲宗朝

이상황(李相璜)

조인영(趙仁永)

전 주(全 州)

풍 양(豊 壤)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동어(桐漁)

운석(雲石)

문익(文翼)

문충(文忠)

철종조

哲宗朝

이헌구(李憲球)

김수근(金洙根)

이   희(李   羲)

전 주(全 州)

안 동(安 東)

전 주(全 州)

우의정(右議政)

판돈녕(判敦寧)

익평군(益平君)

국헌(菊軒)

계산(溪山)

 -

충간(忠簡)

정문(正文)

?

고종조

高宗朝

신응조(申應朝)

박규수(朴珪壽)

이돈우(李敦宇)

민영환(閔泳煥)

평 산(平 山)

반 남(潘 南)

전 주(全 州)

여 흥(驪 興)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찬성(左贊成)

참   정(參   政)

계전(桂田)

환재(瓛齋)

 -

계정(桂庭)

문경(文敬)

 문익(文翼)

 -

충정(忠正)


  1. 사계 김장생

    Date2013.09.21 By有司 Views2368
    Read More
  2. 조선조(朝鮮朝) 종묘(宗廟) 배향(配享) 공신록(功臣錄)

    Date2013.01.08 Bygareul Views1816
    Read More
  3. 문묘배향

    Date2013.01.08 Bygareul Views2132
    Read More
  4. 문중제향 관련용어

    Date2012.12.27 Bygareul Views1639
    Read More
  5. 시조공과 파계보

    Date2012.12.27 Bygareul Views1600
    Read More
  6. 호(號)와 자(字)

    Date2012.06.07 Bygareul Views1762
    Read More
  7. 광산인(光山人) 시호 일람표(諡號 一覽表)

    Date2012.06.07 Bygareul Views1604
    Read More
  8. 시호문자(諡號文字)의 정의(定義)

    Date2012.06.07 Bygareul Views1679
    Read More
  9. 김씨(金氏)의 유래(由來)

    Date2012.06.07 Bygareul Views1757
    Read More
  10. 선조(先祖) 주요 제향(祭享) 일정표

    Date2012.06.07 Bygareul Views1672
    Read More
  11. 문묘배향(文廟配享) 동국18현(東國十八賢)

    Date2012.06.07 Bygareul Views2114
    Read More
  12. 간지연대표

    Date2011.12.15 Bygareul Views2023
    Read More
  13. 14世 양간공(良簡公) 휘 연(諱 璉)의 고찰(考察)

    Date2011.11.26 Bygareul Views1746
    Read More
  14. 1. 光山金氏 五派

    Date2011.11.26 Bygareul Views1713
    Read More
  15.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Date2011.11.26 Bygareul Views30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