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회 수 18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려, 조선 시대에 국왕의 묘정(廟庭-宗廟)에 배향(配享)한 공신(功臣)을 종묘 배향 공신(宗廟配享功臣)이라 일컬었다. 

국왕(國王)이 죽으면 종묘에 신주(神主)를 봉안하고 선왕(先王)들과 합사(合祠)하였는데, 국왕 생전의 총신(寵臣)이나 보익(補翊)에 큰 공로가 있는 사람을 택하여 묘정에 배향하고 부제(祔祭)를 지냈다. 

국왕의 신주를 봉안할 때 모든 배향 공신을 함께 택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국왕과 특별한 관계에 있던 사람이 국왕이 죽은 후에나 늦게 죽으면 그 때에 이르러 사후에 배향하였다. 

또한 후대에 추배(追配)하는 일도 흔하였으며, 추삭(追削)되는 일도 있었다. 

이 배향 공신에 택정되는 것은 종중과 가문의 큰 영예로 인식하였으며, 후손들에게는 문음(門蔭) 등의 특전이 주어졌다.   

조선 시대에도 고려의 배향 공신 의제(儀制)를 그대로 따랐다고 하는데,  태조는 1395년(태조 4)에 새 도읍지 한양(漢陽)에 새로운 종묘를 영조(營造)하였고, 1410년(태종10)에 처음으로 태조 배향 공신을 택정하였다. 

이 때 처음 배향한 사람은 조준(趙浚), 조인옥(趙仁沃), 이화(李和), 이지란(李之蘭) 등 4명이었는데, 1421년(세종3)에 남재(南在), 남은(南誾), 이제(李濟) 등을 추배(追配)하여 조선 태조의 배향 공신은 결국 7명이 되었다. 

이와 같은 추배는 아주 신중을 기했으므로, 송시열(宋時烈)은 1776년(정조 즉위년)에야 효종묘에 배향되었고, 김창집(金昌集)도 1778년(정조 2)에 이르러서야 영조묘에 배향되었다. 

고종 때에 이르러 이 추배가 급증하였는데, 예를 들면 1865년(고종 2)에 양녕대군(讓寧大君), 효령대군(孝寧大君), 남연군(南延君) 등을 추배하였고, 1886년에는 이이(李珥), 민정중(閔鼎重), 김수항(金壽恒) 등을 택정하여 추배하였다. 

또 정통 왕위에 들지 않는 추봉왕(追封王)의 묘정에도 배향 공신을 정하여 1875년에 헌종(憲宗)의 아버지 문조(文祖;翼宗)의 묘정에 남공철(南公轍) 등 3명을, 1899년에는 정조(正祖)의 아버지 장조(莊祖)의 묘정에 이종성(李宗城) 등 2명을 각각 추배하였다. 고종대까지의 배향 공신 88명 가운데에서 고종 때에 추배된 사람이 16명으로 그 수가 크게 증대된 것은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정책에 의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조선 중기까지 강고하게 유지되었던 배향 공신의 법제적 우위성이 후기에 들어오면서 퇴색하여 가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한다. 

역대왕 가운데 단종 및 폐출된 왕(廢王)인 연산군, 광해군, 마지막 국왕인 고종, 순종은 배향 공신이 없었는데, 고종의 경우는 후에 신응조(申應朝) 등 4인을 배향하여 조선 시대 전체 배향 공신은 모두 92인이었다.





왕조(王朝)

성 명(姓名)

본 관(本貫)

관 직(官職)

아 호(雅號)

시 호(諡號)

태조조

(太祖朝)

조    준(趙  浚)

이    화(李   和)

남    재(南   在)

이   제(李   濟)

이지란(李之蘭)

남   은(南   誾)

조인옥(趙仁沃)

평 양(平 壤)

전 주(全 州)

의 령(宜 寧)

전 주(全 州)

청 해(靑海)

의령(宜 寧)

한양(漢 陽)

영의정(領議政)

의안(義安)대군

영의정(領議政)

태조부마(駙馬)

청해백(靑海伯)

절제사(節制使)

이   판(吏   判)

송당(松堂

 -

귀정(龜亭)

 -

 -

 -

 -

문충(文忠)

소도(昭悼)

충경(忠景)

경무(景武)

양렬(襄烈)

강무(剛武)

충정(忠靖)

정종조

定宗朝

이방의(李芳毅)

전 주(全 州)

익안(益安)대군

 -

안양(安襄)

태종조

(太宗朝)

하    륜(河   崙)

조영무(趙英茂)

정    탁(鄭   擢)

이천우(李千祐)

이    래(李   來)

진 주(晉 州)

한 양(漢 陽)

청 주(淸 州)

전 주(全 州)

경 주(慶 州)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완산(完山)부원군

지   사(知   事)

호정(浩亭)

 -

춘곡(春谷)

 -

 -

문충(文忠)

충무(忠武)

익경(翼景)

양도(襄度)

경절(景節)

세종조

(世宗朝)

황   희(黃   喜)

허   조(許   稠)

최윤덕(崔潤德)

신   개(申   槩)

이   제(李   禔)

이   보(李   補)

이   수(李   隨)

장 수(長 水)

하 양(河 陽)

통 천(通 川)

평 산(平 山)

전 주(全 州)

전 주(全 州)

봉 산(鳳 山)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양녕(讓寧)대군

효령(孝寧)대군

이   판(吏   判)

방촌(尨村)

경암(敬庵)

-

 인재(寅齋)

-

-

 심은(深隱)

익성(翼成)

문경(文景)

정렬(貞烈)

문희(文僖)

강정(剛靖)

정효(靖孝)

문정(文靖)

문종조

(文宗朝)

하   연(河   演)

진 주(晉 州)

영의정(領議政)

경재(警齋)

문효(文孝)

세조조

(世祖朝)

한   확(韓   確)

권   람(權   擥)

한명회(韓明澮)

청 주(淸 州)

안 동(安 東)

청 주(淸 州)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議政)

간이재(簡易齋)

소한당(所閑堂)

압구정(鴨鷗亭)

양절(襄節)

익평(翼平)

충성(忠成)

예종조

(睿宗朝)

박원형(朴元亨)

죽 산(竹 山)

영의정(領議政)

만절(晩節)

문헌(文憲)

성종조

(成宗朝)

신숙주(申叔舟)

정창손(鄭昌孫)

홍   응(洪   應)

고 령(高 靈)

동 래(東 萊)

남 양(南 陽)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보한재(保閑齋)

-

휴휴당(休休堂)

문충(文忠)

충정(忠貞)

충정(忠貞)

중종조

(中宗朝)

박원종(朴元宗)

유순정(柳順汀)

성희안(成希顔)

정광필(鄭光弼)

순 천(順 天)

진 주(晉 州)

창 녕(昌 寧)

동 래(東 萊)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

 -

인 재(仁 齋) 

수 부(守 夫) 

무열(武烈)

문성(文成)

충정(忠定)

문익(文翼)

인종조

(仁宗朝)

홍언필(洪彦弼)

김안국(金安國)

남 양(南 陽)

의 성(義 城)

영의정(領議政)

대제학(大提學)

묵 재(黙 齋)

모 재(慕 齋)

문희(文僖)

문경(文敬)

명종조

(明宗朝)

심연원(沈連源)

이언적(李彦迪)

청 송(靑 松)

여 주(驪 州)

영의정(領議政)

좌찬성(左贊成)

보 암(保 庵)

회 재(晦 齋)

충혜(忠惠)

문원(文元)

선조조

(宣祖朝)

이준경(李浚慶)

이   황(李   滉)

이   이(李   珥)

광 주(廣 州)

진 보(眞 寶)

덕 수(德 水)

영의정(領議政)

찬 성(贊 成)

찬 성(贊 成)

동 고(東 皐)

퇴 계(退 溪)

율 곡(栗 谷)

충정(忠正)

문순(文純)

문성(文成)

인조

(仁祖朝)

이원익(李元翼)

신   흠(申   欽)

신경진(申景禛)

이   귀(李   貴)

이   보(李   俌)

이   서(李   曙)

김   류(金   瑬)

전 주(全 州)

평 산(平 山)

평 산(平 山)

연 안(延 安)

전 주(全 州)

전 주(全 州)

순 천(順 天)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연평(延平)부원군

능원(綾原)대군

완풍(完豊)부원군

영의정(領議政)

오 리(梧 里)

상 촌(象 村)

-

묵재(黙齋)

담은당(湛恩堂)

월봉(月峰)

북저(北渚)

문충(文忠)

문정(文貞)

충익(忠翼)

충정(忠定)

정효(貞孝)

충정(忠正)

문충(文忠)

효종조

(孝宗朝)

김상헌(金尙憲)

김   집(金   集)

송시열(宋時烈)

민정중(閔鼎重)

민유중(閔維重)

이   준(李   濬)

안 동(安 東)

광 산(光 山)

은 진(恩 津)

여 흥(驪 興)

여 흥(驪 興)

전 주(全 州)

좌의정(左議政)

예   판(禮   判)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돈녕(領敦寧)

인평(麟平)대군

청음(淸陰)

신독재(愼獨齋)

우암(尤庵)

노봉(老峰)

둔촌(屯村)

송계(松溪)

문정(文正)

문경(文敬)

문정(文正)

문충(文忠)

문정(文貞)

충경(忠敬)

현종조

(顯宗朝)

김좌명(金佐明)

정태화(鄭太和)

김수항(金壽恒)

김만기(金萬基)

청 풍(淸 風)

동 래(東 萊)

안 동(安 東)

광 산(光 山)

예   판(禮   判)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대제학(大提學)

귀계(歸溪)

양파(陽坡)

문곡(文谷)

서석(瑞石)

충숙(忠肅)

익헌(翼憲)

문충(文忠)

문충(文忠)

숙종조

肅宗朝

남구만(南九萬)

윤지완(尹趾完)

박세채(朴世采)

김만중(金萬重)

최석정(崔錫鼎)

김석주(金錫冑)

의 령(宜 寧)

파 평(坡 平)

반 남(潘 南)

광 산(光 山)

전 주(全 州)

청 풍(淸 風)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대제학(大提學)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약천(藥泉)

동산(東山)

현석(玄石)

서포(西浦)

명곡(明谷)

식암(息庵)

문충(文忠)

충정(忠貞)

문순(文純)

문효(文孝)

문정(文貞)

문충(文忠)

경종조

景宗朝

이   유(李   濡)

민진후(閔鎭厚)

전 주(全 州)

여 흥(驪 興)

영의정(領議政)

병   판(兵   判)

녹천(鹿川)

지재(趾齋)

혜정(惠定)

문충(文忠)

영조조

英祖朝

김창집(金昌集)

최규서(崔奎瑞)

민진원(閔鎭遠)

조문명(趙文命)

김재로(金在魯)

안 동(安 東)

해 주(海 州)

여 흥(驪 興)

풍 양(豊 壤)

청 풍(淸 風)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議政)

몽와(夢窩)

소릉(少陵)

단암(丹庵)

학암(鶴岩)

청사(晴沙)

충헌(忠獻)

충정(忠貞)

문충(文忠)

문충(文忠)

정충(靖忠)

장조실

莊祖室

민백상(閔百祥)

이종성(李鍾城)

여 흥(驪 興)

경 주(慶 州)

우의정(右議政)

영의정(領議政)

 -

오천(梧川) 

정헌(正獻)

문충(文忠)

정조조

正祖朝

김종수(金鍾秀)

유언호(兪彦鎬)

김조순(金祖淳)

청 풍(淸 風)

기 계(杞 溪)

안 동(安 東)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영돈녕(領敦寧)

진솔(眞率)

칙지(則止)

풍고(楓皐)

문충(文忠)

충문(忠文)

충문(忠文)

순조조

純祖朝

이시수(李時秀)

김재찬(金載瓚)

김이교(金履喬)

조득영(趙得永)

조만영(趙萬永)

이  구(李  球)

연 안(延 安)

연 안(延 安)

안 동(安 東)

풍 양(豊 壤)

풍 양(豊 壤)

전 주(全 州)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우의정(右議政)

이   판(吏   判)

영돈녕(領敦寧)

남연군(南延君)

급건(及健)

해석(海石)

죽리(竹里)

일곡(日谷)

석애(石崖)

 -

충정(忠正)

문충(文忠)

문정(文貞)

문충(文忠)

충경(忠敬)

 충정(忠正)

문조실

文祖室

남공철(南公轍)

김   로(金   鏴)

조병귀(趙秉龜)

의 령(宜 寧)

연 안(延 安)

풍 양(豊 壤)

영의정(領議政)

이   판(吏   判)

이   판(吏   判)

금릉(金陵)

 설암(雪)

 -

문헌(文憲)

문헌(文獻)

문숙(文肅)

헌종조

憲宗朝

이상황(李相璜)

조인영(趙仁永)

전 주(全 州)

풍 양(豊 壤)

영의정(領議政)

영의정(領議政)

동어(桐漁)

운석(雲石)

문익(文翼)

문충(文忠)

철종조

哲宗朝

이헌구(李憲球)

김수근(金洙根)

이   희(李   羲)

전 주(全 州)

안 동(安 東)

전 주(全 州)

우의정(右議政)

판돈녕(判敦寧)

익평군(益平君)

국헌(菊軒)

계산(溪山)

 -

충간(忠簡)

정문(正文)

?

고종조

高宗朝

신응조(申應朝)

박규수(朴珪壽)

이돈우(李敦宇)

민영환(閔泳煥)

평 산(平 山)

반 남(潘 南)

전 주(全 州)

여 흥(驪 興)

우의정(右議政)

우의정(右議政)

좌찬성(左贊成)

참   정(參   政)

계전(桂田)

환재(瓛齋)

 -

계정(桂庭)

문경(文敬)

 문익(文翼)

 -

충정(忠正)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gareul 2011.11.26 3040
14 사계 김장생 file 有司 2013.09.21 2365
13 문묘배향 gareul 2013.01.08 2132
12 문묘배향(文廟配享) 동국18현(東國十八賢) gareul 2012.06.07 2114
11 간지연대표 gareul 2011.12.15 2023
» 조선조(朝鮮朝) 종묘(宗廟) 배향(配享) 공신록(功臣錄) gareul 2013.01.08 1815
9 호(號)와 자(字) gareul 2012.06.07 1762
8 김씨(金氏)의 유래(由來) gareul 2012.06.07 1757
7 14世 양간공(良簡公) 휘 연(諱 璉)의 고찰(考察) gareul 2011.11.26 1746
6 1. 光山金氏 五派 gareul 2011.11.26 1712
5 시호문자(諡號文字)의 정의(定義) gareul 2012.06.07 1679
4 선조(先祖) 주요 제향(祭享) 일정표 gareul 2012.06.07 1672
3 문중제향 관련용어 gareul 2012.12.27 1639
2 광산인(光山人) 시호 일람표(諡號 一覽表) gareul 2012.06.07 1604
1 시조공과 파계보 gareul 2012.12.27 1600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